제19회 차범석희곡상 수상자인 극작·연출가 김수희(필명 구두리) 극단 미인 대표. /김지호 기자
“잘하고 싶었고, 사실 살아남고 싶었고. 이렇게나 잘하는 사람이 많은 대학로에 작은 점이라도 찍어보고 싶었어요. 그래서 더 죽을 둥 살 둥 썼던 것 같아요.”
제19회 차범석 희곡상 수상자인 극작·연출가 김수희(필명 구두리) 극단 미인 대표는 “수상자 선정 소식을 들으며 ‘작가’라고 불렸을 때 머리를 한 대 맞은 듯 정신이 없고 안 믿기면서도, 낯설지만 기분이 좋았다. 친척 분들께 ‘이번엔 연극상 아니고 희곡상’이라고 말씀드릴 때도
바다이야기게임기 너무 행복하더라”고 했다.
그는 “아마 제가 희곡상 탄다는 소식에 가장 좋아하셨을 분은 필명 ‘구두리’의 원래 주인인 내 할머니셨을 것”이라고 했다. “2023년에 광주 아시아문화전당(ACC) 레지던시에서 희곡 ‘거의 인간’을 쓰고 있을 때 돌아가셨어요. 2007년 여성연출가전에 첫 희곡을 내놓을 때부터 글이 안 써질 때마다 고향인 거제도
백경게임 옆 칠천도 할머니 댁에 내려가 한두 달씩 두문불출했어요. 서울 보내 공부시켜놨더니 연극 한다고 ‘아 다 베맀다(애 다 버렸다)’고 집안에선 난리가 났는데, 할머니는 아무 말 없이 삶은 감자나 튀밥을 제 앞에 쓱 밀어 놓고 나가시곤 했어요. 방해될까 봐.”
김 작가는 “할머니의 그 마음이 제가 작가로서 받은 최초의 환대였던 것 같다. 그
오리지널바다이야기 환대를 기억하면서 작가인 나를 응원하고 싶었다”고 했다.
고2 때 학교 축제에서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비디오를 보며 받아친 대본으로 연극을 올리지 않았다면, 대학 때 노천극장 포스터를 보고 극회를 찾아가지 않았다면, 회사를 무작정 그만두고 한예종 시험에 떨어진 뒤 극단
바다이야기디시 에 들어가지 않았다면, 지금의 김수희(필명 구두리) 작가는 없었을지도 모른다. 그는 “여전히 ‘연출’이라는 호칭이 더 익숙하지만, 작가라 불릴 수 있어 낯설고도 행복하다”고 했다. /김지호 기자
◇극작가 손녀의 필명은 할머니 성함
수상작은 ‘사라지는 곳과 여성’ 3부작-‘금성여인숙
바다이야기온라인 ’ ‘수성다방’ ‘화성골소녀’. 늘 여성을 중심에 놓고 사라지는 장소와 소외된 사람들을 향했던 극작가로서 그의 관심이 응축된 희곡들이다.
모두 직접 현장으로 들어가 만나고 듣고 겪은 이야기들이 바탕이 됐다. 코로나 사태 때 강원도 인제의 50년 된 여인숙에서 격리된 낯선 사람들의 이야기 ‘금성여인숙’은 실제 인제에 있던 같은 이름의 여인숙에 묵으며 그 주인과 주민들의 이야기를 듣고 완성해 나갔다. 극단 후배였다가 수녀가 된 친구가 ‘금성여인숙’을 보러 와선 “탈(脫)성매매 여성을 돕는 수녀들을 만나보겠느냐”고 제안했고, 실제 현장에 방문하기 시작했다. 그로부터 성매매 여성과 그 집결지에서 수녀 신분을 숨기고 활동하는 상담사의 이야기 ‘화성골소녀’가 나왔다. 철거와 재개발을 앞둔 을지로의 오래된 다방 주인 이야기 ‘수성다방’도 마찬가지. 그가 조선소 노동자들 삶의 애환과 질곡을 그린 연극 ‘말뫼의 눈물’을 청계천 변에 있는 전태일 기념관에서 공연하게 됐을 때 갔던 다방과 그곳 70대 여주인의 이야기가 출발점이었다.
그는 “자기 정체성을 고민하며 떠도는 존재에 늘 마음이 간다”고 했다. 백상예술대상을 받은 ‘아들에게: 미옥 앨리스 현’은 남과 북 사이에서 버림받은 현미옥에게, 인공지능(AI)이 보편화된 근(近)미래를 배경으로 한 ‘거의 인간’은 AI 시대 예술가인 작가와 발레 무용수에게 마음을 쏟아 나온 희곡이다.
2025년 백상예술대상 연극 부문 작품상 및 연기상 수상작인 극단 미인의 '아들에게(부제: 미옥 앨리스 현)'. 화와이에서 태어난 미국 국적자로 남북한과 일본, 중국, 미국을 오가며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공산주의계 독립운동가 현미옥의 이야기. /극단 미인
◇관객 직시하는 재미있고 즐거운 연극
그는 “저는 연극하면서 목표가 두 개 있다”고 했다. “관객이 누구인지 정확히 직시하는 연극, 즐겁고 재미있어서 또 보러 오는 연극”이다. 관객에 관한 말은 강원도 원주 토지문화관에서 고(故) 김민기 극단 학전 대표가 해준 얘기다. “제가 올린 청소년극을 다 보셨다고 하셨어요. ‘하고 싶은 공연은 언제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상이 청소년일 때는 그 대상이 누구인지 직시하고 공연해야 한다’고 하셨죠. 그 말씀 잊지 않고 연극 하려고 해요.” 또 하나는 “어떤 관객에게든 내 연극이 마지막 연극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연극 1년에 한두 번 보는 관객도, 평생에 한 번 보는 관객도 있을 거예요. 근데 제 연극을 보고 ‘이제 연극은 그만 됐다’ 생각하면 안 되잖아요. 즐겁고 재밌어야 또 보러 오죠, 하하.”
그는 “차범석 선생은 내게 위인전에 나오는 세종대왕 같은 분이었다”고도 했다. “부조리극은 어렵고, 셰익스피어는 남성 중심 영웅 서사 같아요. 체호프는 잘 이해가 안 되고. 그런데 차범석 선생의 희곡은 세월이 많이 흘렀어도 그 속의 인간적 감정, 욕망, 배경이 제게는 가깝게 느껴져요. 무엇보다 자기 삶의 주인인 여자가 주인공인 희곡이 정말 드물잖아요. 경영학과에 입학은 했는데 연극에 빠져 지내던 대학 때부터 정말 열심히 읽었어요.” 그는 “언젠가 고전을 한다면 선생님의 ‘산불’을 꼭 해보고 싶었는데, 이번에 상도 주셨으니 한번 구체화해 보고 싶다”고 말했다.
5일 개막하는 극단 미인의 연극 '금성여인숙' 포스터(왼쪽)와 같은 날 출간되는 김수희(필명 구두리) 작가의 '사라지는 곳과 여성' 3부작 희곡집 표지. /본인 제공
극단 미인은 내달 5일~14일 서울 성북구 여행자극장에서 이번 수상작인 ‘금성여인숙’을 공연한다. 수상 소식을 듣기 전 일찍부터 잡아 놓은 공연 일정이다. 5일엔 수상작인 ‘사라지는 곳과 여성’ 3부작을 엮은 희곡집도 출간한다.
[심사평]
“삶 한가운데로 걸어 들어가 ‘발로 쓴’ 물음들”
제19회 차범석희곡상 수상작은 김수희(필명 구두리)의 ‘사라지는 곳과 여성’ 3부작-‘금성여인숙’, ‘수성다방’, ‘화성골 소녀’이다. ‘말뫼의 눈물’, ‘아들에게: 미옥 앨리스 현’, ‘거의 인간’ 등의 작품을 통해 김수희는 우리 사회의 그늘진 자리를 들여다보고 잊힌 목소리에 귀기울여 왔다.
3부작에서 김수희는 사라져 가는 장소들—지방 소도시의 여인숙, 을지로의 오래된 다방, 성매매 집결지—을 찾아가 거기 배인 삶의 역사와 장소성(placeness)을 탐구한다. 관념에 머물지 않고 삶 한가운데로 뚜벅뚜벅 걸어 들어가 ‘발로 쓰며’ 던지는 물음들은 덤덤한 듯 뜨겁고, 유연하여 단단하다. 수상자에게 축하를 보내며 앞으로도 이 어두운 골목들을 오래 헤매어 주기를 기대한다.
심사위원 손진책·허순자·배삼식 기자 admin@seastorygame.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