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일 찾은 완도금일수협 군외지점 물김 공판장에서 경매가 끝나자 선원들이 갑판으로 나와 김을 자루에 담고 있는 모습. 해당 상품들은 바로 인근 트레일러에 실려 전국 각지 공장 및 납품장, 가공 공장 등으로 배달된다.최류빈기자 rubi@mdilbo.com
올해 김 수출액이 사상 첫 10억 1천500만 달러를 돌파한 가운데, 전국 김 수출 1위 지역인 전남에 활기가 넘치고 있다.
특히 완도군은 최근 부진했던 작황이 개선되면서 공판장마다 더 좋은 상품을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는 등 '김'을 찾는 이들
게임몰 의 발길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이날 경매를 진행한 임영수(47) 경매사가 한 선박의 김 품질을 확인하고 있다.최류빈기자 rubi@mdilbo.com
지난 20일 찾은 완도금일수협(군외지점) 물
야마토게임 김 공판장도 '검은 반도체' 김 천국을 방불케 했다.
완도군에만 378개 어가가 김 양식에 종사하고 총 1만 1천63㏊ 규모의 해역에 15만 4천871책(양식장을 세는 단위·2.2m×40m)의 김 양식 시설이 설치돼 있다는 사실이 실감 났다.
완도는 지난주까지 작황이 부진했지만 해수온이 평년 수준을 회복하면서 김 수확량이
오리지널골드몽 대폭 늘어났다.
정정민 전남도 수산유통가공팀장은 "올 상반기 완도의 김 수확량이 평년보다 50% 정도 부진했지만 육지에 잔존하는 풍부한 영양염이 해수로 공급되면서, 지난주부터 작황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김 경매
모바일바다이야기하는법 사는 "최근 평균 10여대씩 김 어선이 입항하고 있다. 어선당 평균 7.2t, 120kg 기준으로 45만원 대에 평균 가격이 형성돼 있다"며 "경매 때마다 더 좋은 상품을 차지하기 위해 신경전이 치열한 편"이라고 설명했다.최류빈기자 rubi@mdilbo.com
최근 수확량 증가뿐만 아니라 품질 좋은
바다이야기온라인 김이 대거 시장에 나오면서 이를 선점하기 위한 경쟁도 뜨겁다. 이날 공판 진행을 맡은 임영수(47) 경매사는 "최근 평균 10여 대씩 김 어선이 입항하는데 선당 평균 7.2t씩 김을 가지고 온다"며 "가격대는 120kg 기준으로 45만원대에 형성돼 있다. 더 좋은 상품을 차지하기 위해 입찰자끼리 신경전이 치열한 편이다"고 분위기를 설명했다.
경매가 시작되기 전 갑판에 올라 상품들을 둘러봤다. 임 경매사는 "(김을)쥐어보면 물 빠짐이 좋고 속이 팔팔해서 물이 빠져나와야 좋은 상품"이라며 "오늘은 '곱창 김'이 많은데 대부분 물기를 많이 머금고 살이 올라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김이 '팔팔하다'는 표현이 와닿지 않아 김을 한 움큼 쥐니 의미를 알 것 같았다. 손바닥 가득 퍼지는 탄력과 촉감이 선명했다. 또 완도 물김 특유의 차가운 수분이 스며 나오면서도 줄기 한 올 한 올이 힘 있게 살아 있어 볼륨감이 있었다. 청정 김인 만큼 조금 먹어봐도 된다는 말에 입에 가져가 봤다. 속물이 한가득 배 있어 식감마저 부드러웠다.
이윽고 경매가 시작되자 분위기는 숨 가쁘게 변했다.
오전 11시 호루라기 소리와 함께 경매가 시작되자 응찰자들이 선박 위에 올라 가격을 적는 쪽지를 건네받고 있다.최류빈기자 rubi@mdilbo.com
호루라기 소리가 들리자 경매인과 매수자 30여 명이 일제히 선박 위로 올라선다. 이들은 나란히 정박해 둔 10척 배의 선창을 오가며 상품성을 빠르게 확인했다. '한가득 2호', '대상호' 등 계류장에 즐비한 어선의 선창을 살펴볼 때마다 물김으로 만선이었다.
입찰표를 받아 든 매수자들은 쪽지에 금액을 적어 경매인에게 빠르게 건냈다. 조금이라도 낮은 가격에 김을 사려는 탓에 신경전도 부지기수였다. "김 일곱 자루 예상 해태호, (한 자루당)46만 9천원에 낙찰!" 치열한 입찰 끝에 물건(김)을 거머쥐자 한 경매인의 입가에 미소가 번진다.
좋은 상품을 확보하기 위한 김 매수자들의 열기도 고조됐다. 일렁이는 갑판 위를 옮겨 다니며 좋은 자리를 선점해야 했고, 다른 응찰자를 살피는 '눈치 싸움'도 불가피했다.
한 선박에서 오늘 공판으로 판매한 김을 크레인에 메달아 트레일러에 선적하는 장면. 한 선박에서 평균 7.2t씩 김을 수확하고 있다.최류빈기자 rubi@mdilbo.com
완도물산 소속 김모(60대) 씨는 "새우표 김을 만들기 위해 매일 아침 공판장에 찾아온다. 여러 경매 현장을 다니고 있지만 완도김은 특히 부드러운 재래김을 비롯해 파래향이 살아 있는 파래김, 담백한 맛이 특징인 돌김, 거칠지만 구수한 곱창김이 모두 생산돼 입찰이 치열하다"고 했다.
경매가 끝나자 선원들이 바빠졌다. 선박 위에 고르게 펼쳐져 있던 김을 수백 개 포대 자루에 옮겨 담았다. 이후 육상 크레인에 자루를 연결하고 저울대에 올려 무게를 쟀다. 김을 담아가려는 대형 트레일러들만 일곱여 대 줄지어 서 있었다.
판매 직전, 전자식 저울로 중량을 확인한 후 구매자에게 김을 건넨다.최류빈기자 rubi@mdilbo.com
이날 공판장에 나온 70t가량 물김은 30여 분 만에 '완판'됐다. 한 어민은 "우수한 품질의 김을 낙찰받아 다행이다"며 "앞으로도 전남의 여러 김 공판장들이 활기를 띄면서 경쟁력 있는 해조류가 시장에 공급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글·사진=최류빈기자 rubi@mdilbo.com 기자 admin@seastorygame.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