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트륨 함량이 높은 라면 [게티이미지뱅크]
[헤럴드경제=육성연 기자] 짜게 먹는 우리나라. 과연 한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짜게 먹는 나라일까?
온라인 커뮤니티와 유튜브에 퍼진 ‘전 세계 나트륨 섭취량 순위’ 게시물에서는 우리나라가 15위를 차지한다고 적혀 있다. 1위는 중국이다. 해당 순위는 사실일까.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생활영양안전정책과에 확인한 결과, 신뢰할 만한 자료는 아니었다. 자료 출처가 불명확하고, 우리나라 섭취량도 현재가 아닌 과거 수치로 계산됐다는 의견이다.
다만 현재보다 섭취량이
릴게임황금성 높았던 ‘과거’ 수치로 15위를 차지한 것은, 우리나라 나트륨 섭취량이 이전보다 많이 줄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정부의 꾸준한 나트륨 저감 정책 실행과 국민 인식이 개선이 영향을 미쳤다. 실제 10년간 한국의 나트륨 섭취량은 극적으로 감소했다.
식약처 식생활영양안전정책과 관계자는 “나트륨 저감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 2012년 이후 나트
오션파라다이스게임 륨 섭취량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고 말했다.
식약처에 따르면 2011년만 해도, 우리나라의 하루 나트륨 섭취량은 4831㎎이었다. WHO 권고량의 무려 2.5배에 달한다. 하지만 이후 점차 감소하면서 2023년 섭취량은 3136㎎(소금 7.8g)이다. 2011년보다 35% 감소했다. 4년 전인 2019년에 비해서도 4.8% 줄었다.
릴게임 2011~2018년 한국인의 하루 나트륨 섭취량 추이. 섭취량은 꾸준히 감소했다. [식약처 제공]
식약처는 2012년 ‘나트륨 저감화 종합대책’을 수립했다. 나트륨 영양표시 확대, 나트륨을 줄인 메뉴 운영업소 지정, 싱
바다이야기예시야마토게임 겁게 먹는 식습관 교육, 나트륨 적게 먹기 문화 확산 등을 통해 나트륨 과다 섭취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도록 유도해 왔다.
그 결과, 우리나라는 나트륨 저감 정책이 성과를 거둔 국가가 됐다. 실제 식약처와 질병관리본부는 2020년 세계고혈압연맹(WHL)으로부터 ‘나트륨 섭취 줄이기 기관 우수상(WHL Organization Excellen
릴게임모바일 ce Award)’을 수상했다. 2013년 WHO는 ‘2025년까지 나트륨 섭취량 30% 감소’라는 목표를 세웠다. 한국은 이를 달성한 노력을 인정받았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은 멀다. WHO의 권장량(2000㎎)은 달성하지 못한 상태다. 2023년 섭취량은 WHO 권고량보다 1.6배 많다. 전통적으로 소금이 많이 들어가는 절임류나 찌개, 국을 많이 먹어서다. 식약처에 따르면 나트륨 섭취의 주요 급원 식품에 김치, 라면, 국, 찌개 등이 포함된다.
식단에서 나트륨 섭취량을 줄이려면 식품안전나라 사이트에 올려진 조리법을 활용해도 좋다. 식약처 식생활영양안전정책과 관계자는 “식약처는 가정에서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나트륨·당류 저감 요리법이 담긴 ‘우리 몸이 원하는 삼삼한 밥상’을 매년 발간한다”라고 말했다. ‘삼삼한 밥상’ 전자책에는 단계별 나트륨 저감 조리법과 조리 예시가 사진과 함께 수록돼 있다.
식품안전나라 ‘심심한 밥상’ 화면 [식약처 홈페이지] 기자 admin@reelnara.inf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