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사진=REUTERS
제너럴 모터스(GM)가 수천여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에 중국산 조달에서 완전 철수하도록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12일(현지시간) 로이터가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한데 따르면 GM은 최근 공급업체들에 중국에서의 조달을 중단하고 다른 나라에서 공급선을 찾을 것을 요구했다. 일부 공급업체에 대해서는 2027년까지 중국에서 부품 공급망
철수하라는 지침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대상은 북미에서 생산되는 자동차에 들어가는 소재와 부품이다.
GM 경영진은 지난 2024년말부터 일부 공급업체들에게 중국 외의 다른 나라에서 원자재와 부품 공급선을 찾아야 한다고 언급했으며 최근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GM은 이 조치가 공급망 "회복탄력성"을 개선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라고 밝혔
다.
미국과 중국간 지정학적 긴장으로 자동차 회사들은 올해 내내 긴급 상황에 처해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가 오락가락하고 있는데다 희토류 자원의 병목 현상과 자동차용 반도체 부복까지 업계의 공황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회사들은 주요 원자재 및 부품 공급원이었던 중국과의 관계를 재고하게 됐다.
일부 자동차 업
계 관계자들은 미중 관계에 장기적인 변화가 감지되고 있으며, 일부는 수십 년간 이어져 온 미중 관계를 정리하는 움직임도 있다고 지적했다.
GM은 북미 지역에서 생산되는 자동차는 북미에서 부품을 조달하는 것을 선호하지만 중국 등 제한국가가 아닌 다른 나라 공급망에는 개방적이라고 소식통은 전했다.
GM의 지침에는 중국외에
도 미국의 무역 제한을 받는 러시아와 베네수엘라 등이 포함돼있다. 중국은 자동차 부품의 최대 공급국이다.
GM은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미국 희토류 회사와 협력하고 전기차 배터리 소재를 위해 네바다주에 있는 리튬 광산에도 투자하고 있다.
GM의 10월 분기별 컨퍼런스 콜에서 최고경영자(CEO)인 메리 바라는 “자동
차 부품은 가능한 자동차를 생산하는 국가에서 조달하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GM의 글로벌 구매 책임자인 실판 아민은 공급 중단 위험 때문에 비용이 저렴한 국가에만 의존하지 않는다며 “공급망을 더 잘 통제하고 어디에서 무엇이 들어오는지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미국과 중국은 10월말 무역전쟁 휴전에 합의했으나 제품 기획 주기가 수년에 걸치는 자동차 산업에서 양국간 무역상황과 공급망의 불안에 시달려왔다.
부품 공급업체와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트럼프 1기때부터 본격화된 대중 관세를 피하기 위해 이미 중국의 공급망에서 이탈해 왔다. 올해는 관세 수위가 높아지자 중국이 희토류 수출 제한 등 반격에 나서면서 공급망 압박이 심화됐다.
지난달에는 중국과 네덜란드간 지식재산권 분쟁으로 중국이 자동차 전장 부품에 들어가는 저가 반도체 공급업체인 넥스페리아의 출하 중단으로 공장 가동 중단 우려가 다시 불거졌다.
부품 공급업체들이 중국 외부로 공급망을 이전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중국이 조명,전자제품, 맞춤형 부품 공구 및 금형 등에서 지나친 우위를 점하고 있어 대체재를 찾기 어렵다고 공급업체들은 말하고 있다.
자동차부품협회(MEMA) 콜린 쇼 회장은 자동차 회사와 대형 부품 공급업체들이 중국 등 일부 국가의 부품 공급을 줄임으로써 공급망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왔다고 말했다. 그러나 20년이나 30년간 구축된 공급망을 몇 년내로 뒤집기는 어려우며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 기자 admin@seastorygame.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