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에서 발생하는 해로운 세균이 타액을 통해 췌장으로 옮겨져 췌장암의 위험을 3배나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양치질을 충분히 하지 않으면 췌장암 발병 위험이 세 배로 커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췌장암은 생존율이 가장 낮은 암 중 하나인데, 모호한 증상으로 후기 단계에서 진단되기 때문이다. 1990년 이후 25세 미만 여성의 췌장암 발병률은 최대 200% 급증했다.
《미국의사협회저널 종양학(JAMA Oncology)》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구강에 존재하는 세균이 타액을 통해 췌장으로 옮겨져 췌장암의 위험을 3배나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뉴욕의대 연구진은 미국 암 협회
사업주체 암 예방 연구와 전립선암, 폐암, 대장암, 난소암 검진 시험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흡연을 포함한 생활 방식이 암 발병에 어떻게 관여하는지 분석했다. 연구진은 참가자들에게 구강 청결제로 입을 헹구게 한 뒤 타액 샘플을 채취했다. 연구진은 참가자들을 약 9년 동안 추적해 종양이 발생했는지를 기록했다.
연구진은 연구 기간 췌장암에 걸린 환자
신협 주택담보대출 445명의 타액 샘플에서 채취한 박테리아, 진균 DNA를 암이 없는 참가자 445명의 타액 샘플에서 채취한 박테리아, 진균 DNA와 비교했다. 타액 샘플을 비교한 890명의 평균 연령은 67세였으며, 53%가 남성이었다.
연구 결과 췌장암 위험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27종의 박테리아와 진균이 확인됐다. 이 중 3종의 박테리아는 치아를
대출정보 둘러싼 턱뼈와 연조직을 갉아먹는 치주질환이라고 불리는 잇몸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이미 알려져 있다. 이들 박테리아 그룹은 암 발병 위험을 3배 이상 증가시켰다.
칸디다로 알려진 진균류가 특히 췌장암과 관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칸디다 중 대부분은 무해하지만, 면역력 등이 떨어진 환자에게는 구강과 내장 기관에 감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코스닥 연구진은 "구강 박테리아와 진균이 췌장암 발병의 중요한 위험 요소"라고 설명했다.
췌장암의 잠재적 증상으로는 황달(눈의 흰자위와 피부가 노랗게 변하는 증상)과 피부 가려움증, 소변 색이 어두워지는 증상 등이 있다. 또 식욕 부진, 의도치 않은 체중 감소, 변비 또는 복부 팽만 등도 징후로 나타난다.
급여 정희은 기자 (eun@kormedi.com)